카테고리 없음
2025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절차 안내 도식 (단계별 설명 포함)
봉봉둥이
2025. 4. 9. 12:29
반응형
🚘 전기차 보조금은 “사전 확인 → 신청 → 출고 → 등록 → 보조금 청구”의 흐름으로 진행됩니다.
각 단계마다 놓치면 안 될 중요 포인트도 함께 확인하세요!
📊 전체 흐름 요약 도식
[1] 대상 차량 확인
↓
[2] 구매 계약 체결
↓
[3] 지자체 신청
↓
[4] 차량 출고
↓
[5] 차량 등록 (자동차 등록증 발급)
↓
[6] 보조금 청구 서류 제출
↓
[7] 보조금 지급 (제조사 or 개인)
✅ 1단계: 보조금 대상 차량 확인
- 환경부 지정 ‘보조금 지원 대상 차량’ 목록 확인
-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차량 조회 가능
⚠️ 일부 연식 변경 차량은 보조금 대상이 아닐 수 있음. 중고차/전시차는 제외.
✅ 2단계: 구매 계약 체결
- 보조금 대상 차량임을 확인한 후 차량 딜러와 계약
- 계약서에 차종, 계약일, 출고 예정일 포함 필요
⚠️ 계약만으로 보조금 확정 아님 → 반드시 출고까지 완료되어야 함
✅ 3단계: 지자체에 보조금 신청
- 무공해차 누리집 또는 지자체 포털에서 신청
- 필요 시 출고 전 사전 신청 요구됨
- 예산 소진 여부 반드시 확인
필요 서류 예시:
- 전기차 구매 계약서
- 주민등록등본
- 개인정보 수집·이용 동의서 등
⚠️ 주소지 기준 지자체에서만 신청 가능 (직장 주소는 인정 안 됨)
✅ 4단계: 차량 출고
- 실제 제조사에서 차량이 출고되어 인도받음
⚠️ 보조금은 출고일 기준 지급. 출고 지연 시 보조금 미지급 가능성 있음.
✅ 5단계: 차량 등록
- 구청 또는 차량등록소에서 등록 → 자동차 등록증 발급
- 의무 운행 기간(2년)은 등록일 기준 시작
⚠️ 개인 명의로 등록 필수. 리스·렌트는 업체가 등록 대행.
✅ 6단계: 보조금 청구 서류 제출
- 출고 및 등록 후, 지자체 또는 제조사 대행으로 서류 제출
필수 서류 예시:
- 자동차 등록증
- 차량 세금계산서
- 주민등록등본
- 보조금 지급 청구서, 의무운행 서약서 등
⚠️ 서류 누락 시 지급 지연. 지자체에 따라 기한 제한 있음 (예: 출고 후 10일 이내)
✅ 7단계: 보조금 지급
- 심사 완료 후 제조사 계좌 또는 개인 계좌로 지급
- 일반적으로 출고 후 2~4주 이내 지급
⚠️ 의무운행 2년 미준수 시 보조금 환수 가능 (폐차·양도·수출 등)
📍 리스/렌트 차량 유의사항
- 보조금 일부 감액
- 리스사 또는 렌트사가 수령 주체일 수 있음
- 계약 시 보조금 귀속 대상 명확히 해야 함
✅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절차 요약 체크리스트
단계 |
핵심 확인 사항 |
---|---|
대상 확인 | 무공해차 누리집에서 지원 차량인지 확인 |
계약 | 출고 가능 시점 확인, 계약서 작성 |
지자체 신청 | 예산 잔여 확인, 주소지 일치 |
출고 | 딜러 통해 차량 수령, 지연 여부 점검 |
등록 | 자동차 등록증 발급 후 서류 준비 |
청구 | 보조금 청구 서류 누락 없이 제출 |
지급 | 제조사 또는 개인에 지급, 의무운행 유의 |
반응형